본문 바로가기

주짓수 동기부여

주짓수 키즈반 수업 내용

 

대략적인 주짓수 키즈반 커리큘럼에 대해서 소개해드립니다. 

(*인원수와 나이대에 따라 변경 또는 수정됩니다)

 

[8세 - 11세 주짓수 키즈반 커리큘럼]

목표: 주짓수의 기본 개념과 동작 익히기, 신체 조정 능력 향상, 재미있게 운동하기

기초 및 예절

  1. 도장 예절 배우기
    • 인사 방법: 도장에 들어올 때와 나갈 때, 수업 시작과 끝에 인사하는 방법을 익힘.
    • 도복 착용법: 도복 입는 방법과 벨트를 매는 방법을 배움.
    • 기본 규칙과 안전 수칙: 안전하게 운동하는 방법과 도장에서 지켜야 할 규칙 설명.

기본 운동 및 체력 강화

  1. 스트레칭과 유연성 운동
    • 동적 스트레칭: 팔 돌리기, 다리 휘젓기 등.
    • 정적 스트레칭: 다리 벌려 앉아 앞으로 숙이기, 나비 자세 등.
  2. 기본적인 몸 풀기 운동
    • 달리기: 다양한 속도로 달리기, 방향 바꾸기 훈련.
    • 점프: 제자리 점프, 장애물 넘기, 높이 뛰기.

기본 기술 배우기

  1. 기본 넘어뜨리기 (Takedown)
    • Double Leg Takedown: 상대의 두 다리를 잡고 넘어뜨리는 기술.
    • Single Leg Takedown: 상대의 한 다리를 잡고 넘어뜨리는 기술.
  2. 기본 포지션
    • Guard: 상대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포지션.
    • Mount: 상대의 가슴 위에 올라타는 포지션.
    • Side Control: 상대의 옆에서 눌러주는 포지션.
  3. 기본 탈출 기술
    • Hip Escape (Shrimping): 엉덩이를 이용해 상대의 압박에서 벗어나는 기술.
    • Bridge Escape: 몸을 아치 형태로 만들어 상대를 뒤집는 기술.

기본 서브미션 배우기

  1. Armbar: 상대의 팔을 펴서 굴복시키는 기술.
  2. Rear Naked Choke: 상대의 목을 뒤에서 감아 조르는 기술.
  3. Triangle Choke: 다리로 상대의 목과 팔을 감아 조르는 기술.

놀이와 게임

  1. 주짓수 기술을 활용한 게임
    • 기술 릴레이: 팀을 나누어 특정 기술을 빠르게 수행하는 릴레이 게임.
    • 기술 찾기: 도장 내에 숨겨진 기술 카드 찾기 후 해당 기술 수행.
  2. 협동 게임과 경쟁 게임
    • 균형 잡기 게임: 두 명씩 짝을 지어 한 발로 서서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게임.
    • 기술 연결 게임: 다양한 기술을 연속으로 연결하는 게임, 기술의 순서를 외워 수행.

정신적 훈련

  1. 집중력과 인내심 기르기
    • 명상 시간: 수업 시작 전과 끝에 짧은 명상 시간 갖기.
    • 집중력 게임: 눈을 감고 소리만 듣고 지시에 따라 움직이기.
  2. 자신감과 긍정적 사고 방식 개발
    • 긍정 카드 작성: 수업 후 자신이 잘한 점을 카드에 적어 서로 공유.
    • 자기 표현 시간: 자신의 주짓수 목표와 성취를 친구들 앞에서 발표.

 

 

[12세 이상 주짓수 키즈반 커리큘럼]

목표: 주짓수 기술의 심화 학습, 전략적 사고 능력 향상, 대회 준비

기술 심화

  1. 다양한 넘어뜨리기 기술
    • Advanced Takedowns: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급 넘어뜨리기 기술.
  2. 포지션 전환 기술
    • Guard Pass: 상대의 가드를 뚫고 위로 올라가는 기술.
    • Sweep: 아래에서 상대를 뒤집어 위로 올라가는 기술.
  3. 고급 서브미션 기술
    • Kimura: 상대의 팔을 꺾어 굴복시키는 기술.
    • Omoplata: 다리를 이용해 상대의 팔을 꺾는 기술.
    • Triangle Choke: 다리로 상대의 목과 팔을 감아 조르는 기술 (고급 버전).

스파링

  1. 안전한 환경에서의 스파링
    • 경기 전 몸 풀기: 충분한 스트레칭과 가벼운 몸 풀기.
    • 파트너와의 신뢰 형성: 스파링 전 파트너와 간단한 대화로 신뢰 쌓기.
  2. 상황별 스파링
    • 특정 포지션에서 시작하는 스파링: 예를 들어, guard나 mount 포지션에서 시작.

전술 및 전략

  1. 경기 전략 및 전술 배우기
    • 상황별 대응 전략: 상대의 공격에 따라 방어와 반격 전략 익히기.
    • 시뮬레이션 경기: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시뮬레이션 경기 진행.
  2. 상대방의 움직임에 대한 대응 훈련
    • 예측 훈련: 상대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미리 대비하는 연습.

경기 준비

  1. 대회 규칙과 전략 이해
    • 대회 규칙 설명: 대회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매너 설명.
    • 전략 수립: 각자의 강점과 약점을 고려한 개인별 경기 전략 수립.
  2. 모의 대회와 실제 대회 참가 준비
    • 모의 대회: 도장 내에서 모의 대회 개최, 실제 대회처럼 진행.
    • 실제 대회 참가: 지역 대회 또는 전국 대회 참가 준비.

체력 및 유연성 훈련

  1. 고급 스트레칭과 유연성 운동
    • 발차기 스트레칭: 다리를 높이 올려 발차기 준비.
    • 합동 스트레칭: 두 명이 짝을 이루어 서로 도와주는 스트레칭.
  2. 근력과 지구력 훈련
    • 서킷 트레이닝: 여러 가지 운동을 짧은 시간에 반복하여 체력 강화.
    • 인터벌 훈련: 고강도 운동과 저강도 운동을 번갈아 가며 진행.

심리적 준비

  1. 경기 전 멘탈 관리 방법
    • 심호흡 훈련: 긴장 완화를 위한 심호흡 방법 익히기.
    • 긍정적 자기 암시: 경기 전 자신에게 긍정적 말을 반복하여 긴장 완화.
  2. 스트레스와 긴장 관리 기술
    • 리플렉션 타임: 수업 후 자신의 감정을 돌아보고 이야기 나누기.
    • 스트레스 해소 활동: 운동 후 릴렉스 활동, 예를 들어 간단한 요가나 명상.

추가 활동

  1. 자기 평가 및 피드백 세션
    • 기술 발전 상황 점검: 각 기술별로 자기 평가 및 코치의 피드백.
    • 개인별 피드백 제공: 각 아이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맞춤형 피드백 제공.
  2. 연구 및 토론
    • 주짓수 역사와 문화 배우기: 주짓수의 기원과 발전 과정에 대해 학습.
    • 기술 분석 토론: 특정 기술에 대해 분석하고 토론하기.
  3. 사회적 활동
    • 팀 빌딩: 팀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활동, 예를 들어 단체 게임이나 야외 활동.
    • 공동체 활동: 주짓수 외의 활동, 예를 들어 자원봉사나 사회 공헌 활동.

 

 

주짓수는 파트너가 필요한 운동이기에 지속적으로 수련하기 위해서는 파트너를 배려하는 마음을 가져야하고 승패를 떠나서 함께 성장하는 법을 배워갈 수 있습니다.